소프트웨어공학
운영교수 |
이현수 교수님 ![]() 신광철 교수님 ![]() ![]() 장홍종 교수님 ![]() ![]() |
||
---|---|---|---|
전공구분 | 전공 | 학점 | 3학점 |
정원 | 800명 | ||
수료기준 |
[2025-L1-6 기준]
중간:30% / 기말:30% / 출석:15% /
과제물:15% 퀴즈:5% / 토론:5% / 참여실습:0% |
||
![]() ![]() ![]() |
관련 전공 영역 | 학사 | 디지털아트학 전공,멀티미디어학 전공,정보보호학 전공,정보통신공학 전공,컴퓨터공학 전공 |
---|---|---|
전문학사 | 정보시스템개발 전공 | |
교양 |
소프트웨어를 공학적인 산출물로 가정하여 소프트웨어 생명주기와 각 단계들의 활동 및 세부적인 과업 등을 이해한다. 생산성을 고려한 고품질 소프트웨어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소프트웨어공학의 개요, 프로세스, 프로젝트 관리 개념,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와 프로젝트 척도,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소프트웨어 품질 보증, 소프트웨어 형상 관리, 시스템 공학, 분석의 개념과 원리, 분석 모델, 설계의 개념과 원리, 소프트웨어 시험 기법,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공학, 소프트웨어 공학의 진보된 개념 등을 세부적으로 배운다.
다양하고 방대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기법의 기본 개념을 학습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으로부터 출발하여 설계와 모델링, 프로세스, 관리 등 어려운 개념들을 그림과 구조도를 통해 체계적이고 쉽게 접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프트웨어 설계, 개발, 운영에 관한 전체 그림을 이해할 수 있는 생명주기와 개발 프로세스, 소프트웨어 개발 계획과 개발 과정을 파악하고 제어하는 프로젝트 관리, 사용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명세화하는 기법, 다양한 관점으로 소프트웨어를 모델링하는 기법, 기본적인 소프트웨어 설계 원리와 개념, 소프트웨어의 골격인 아키텍처 설계와 객체지향 프로그램의 설계 패턴, 품질을 높이기 위한 코딩 방법과 다양한 테스트, 검증 기법, 소프트웨어 품질 개념과 품질을 높이기 위한 품질보증 활동, 제품 측정 및 프로세스 개선에 대해 학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