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상담및가족치료
운영교수 |
유은실 교수님 ![]() 김지선 교수님 ![]() ![]() 정한나 교수님 ![]() ![]() |
||
---|---|---|---|
전공구분 | 전공/교양 | 학점 | 3학점 |
정원 | 800명 | ||
수료기준 |
[2025-L1-7 기준]
중간:30% / 기말:30% / 출석:15% /
과제물:15% 퀴즈:5% / 토론:5% / 참여실습:0% |
||
![]() ![]() ![]() |
관련 전공 영역 | 학사 | 교양,노년학 전공,사회복지학 전공,상담학 전공,아동학 전공,청소년학 전공 |
---|---|---|
전문학사 | 교양,아동ㆍ가족 전공 | |
교양 |
개인 및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고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문적 실천기술로 가족상담 및 치료의 주요 모델과 실제를 학습한다. 이를 위해 가족 및 가족의 변화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가족상담과 가족치료의 필요성, 기능 및 역할, 사회복지실천과의 관련성에 대해 이해한다. 또한,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발전과정과 관련된 제반이론, 이를 기초로 진행되는 가족상담 및 치료과정 및 가족치료모델의 실제 등을 학습한다. 가족사정 및 평가, 가족치료 및 종결의 일련의 과정들을 사례분석과 역할연습을 통해 가족상담 및 치료의 과정과 기법을 훈련한다. 나아가 가족상담 및 치료의 실제에서 필요한 기법과 예상되는 문제점 등을 검토하여 가족상담에 필요한 능력을 배양하고, 가족문제를 해결하고 예방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 실험할 수 있는 가족상담 및 치료의 기법을 익히고 활용할 수 있다.
가족에 대한 이해와 가족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가족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족상담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 이를 위해 가족의 특성 및 가족의 기능, 가족상담과 개인상담의 차이점, 가족상담 및 치료 모델 등을 이해한다. 또한 가족사정 및 평가, 가족상담의 과정을 훈련하여 가족문제에 적절하게 개입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상담사로서의 역량을 배양한다. 이를 통해 한국가족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실천적 접근을 모색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