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설비Ⅰ
운영교수 |
유치형 교수님 ![]() 박동철 교수님 ![]() ![]() |
||
---|---|---|---|
전공구분 | 전공 | 학점 | 3학점 |
정원 | 280명 | ||
수료기준 |
[2025-L2-2 기준]
중간:30% / 기말:30% / 출석:15% /
과제물:15% 퀴즈:5% / 토론:5% / 참여실습:0% |
||
![]() ![]() ![]() |
관련 전공 영역 | 학사 | 소방학 전공,전기공학 전공 |
---|---|---|
전문학사 | 소방학 전공,전기공학 전공 | |
교양 |
전기설비의 현장시공과 전력관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으며, 현장 실무 적용과 관련한 제반 법적 근거를 배움으로써 사회에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교과목은 전선의 종류와 용도, 전선관 공사, 전압과 전기방식, 조명기구 설명, 공기조화와 방재설비, 건축전기설비 등을 배운다.
최근 산업발전 및 다양화로 전력 사용 증가, 각종 제어설비의 제어시스템 변화, 스마트 그리드 등의 기술발전으로 전기설비설계 및 시공, 유지관리가 날로 고도화된 기술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교과목에서는 조명설비, 수변전설비, 예비전원설비, 배전설비(전압과 전기방식, 전선관 공사, 전선의 종류와 용도 포함), 동력설비, 반송설비, 공기조화와 방재설비에 대해 학습하여 전기설비의 현장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인 학습목표는 다음과 같다. 1. 조명의 종류와 기능에 대해 살펴보고, 설계 방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장소와 위치에 따른 조명계획의 주안점을 살펴보고, 조명계획을 해 볼 수 있다. 3. 수변전설비의 종류와 특성 및 적용 효과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4. 예비전원설비의 종류와 특성 및 적용 효과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5. 전압과 전기방식, 전선관 공사, 전선의 종류와 용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6. 동력설비의 종류를 분류해보고, 기동 및 속도제어 방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7. 반송설비의 구조 및 종류에 대해 살펴보고, 설치 및 건축 계획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8. 공지조화와 방재설비의 종류 및 구성을 살펴보고, 동작 방식과 특징을 제시할 수 있다.